카테고리 없음

인터넷 스트리밍 이란 ?

Filet 2024. 7. 20. 00:47
반응형

인터넷 스트리밍은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 및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. 컴퓨터 및 모바일 장치에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은 데이터 연속흐름으로 전송함으로 수신자가 즉시 시청할 수 있습니다.

 

스트리밍

스트리밍을 사용하면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전 콘텐츠를 바로 사용하거나 시청을 할 수 있으며, 노래를 듣거나 영화, 콘텐츠 영상 등등 다운로드를 기다릴 필요 없이 바로 시청이 가능합니다. 이것이 스트리밍의 주요 이 점 중 하나이며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제공하며 사용합니다. 스트리밍과 다운로드가 다른 이유는 주요 차이점이 있는데 다운로드는 다운을 하고 데이터를 삭제할 때까지 기기에 영구저장이 되며, 스트리밍은 사용한 후 데이터에 어떠한 일이 발생하는지의 차이입니다. 스트림의 경우 데이터를 사용하고 나면 자동적으로 삭제가 됩니다.

 

스트리밍의 콘텐츠 및 요구 사항

  • 라이브(실시간) 스트리밍 

라이브 스트리밍은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인터넷 콘텐츠에 많이 사용이 되는데 치지직 , 유튜브, 아프리카 등등 여러 방송 매체에 사용이 됩니다. 라이브 스트리밍은 특별한 일회성 콘텐츠, 이벤트에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.

 

  • 게임 및 앱

본래 스트리밍은 오디오나 비디오를 전달하는 데 사용이 됐지만 최근 애플은 스트리밍을 게임과 애플리케이션에도 사용할 수 있게 구현을 했습니다. 이기술은 온 디맨드 리소스라고 불리며 사용자가 게임을 처음 다운로드 했을 때 게임 및 핵심 기능을 세트로 포함시킨 다음 사용자가 필요할 때 새로운 콘텐츠를 스트리밍을 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. 

 

  • 스트리밍 요구 사항

스트리밍은 상대적으로 빠른 인터넷을 필요합니다 스트리밍 하는 미디어의 유형에 따라 속도는 달라지고 지연 없이 표준화질에 비디오를 진행했을 때 초당 2메가 바트 이상의 속도의 데이터가  팔요하며 HD 4K 같은 고화질 콘텐츠는 더욱 많은 데이터 전송이 필요합니다.

 

  • 스트리밍 관련 문제

스트리밍은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을 하며 인터넷이 느려지면 문제가 발생하는데 노래나 영상을 듣고 있다 10초 20초 등등 노래가 제생이 안되며 버퍼링이 걸려 오류가 발생합니다. 버퍼링은 스트리밍 된 콘텐츠에 대한 프로그램의 임시 메모리라고 하며, 항상 다음에 채워질 콘텐츠(영상)를 미리 데이터로 채워지는데 노래를 듣거나 영상을 보고 있는 동안의 앞에 몇 분 분량의 비디오가 저장된다고 보시면 됩니다. 그래서 인터넷 속도가 느려지면 충분한 버퍼를 채워지지 못해 중지가 되거나 품질이 저하된 상태로 영상으로 보이게 되는 겁니다.

 

반응형